수주잔고 절반가량 내년 인도될 예정

▲ 사진 출처:현대중공업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이 지속되면서 글로벌 선박발주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다. 현재와 같은 흐름이 지속된다면 2021 년에는 주요 선종의 선박공급 증가율이 1% 대에 머물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근 10 년간의 주요 선종별 물동량 증가율이 매년 4% 전후를 유지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2021년에는 선박공급 대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결국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이 지속되더라도 선박을 건조하는데 2 년여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보면 올해 하반기 선박 발주는 늘어날 수 밖에 없다고 판단된다고 한화투자증권 이봉진 애널리스트는 밝혔다.

2019년 6 월 현재 클락슨이 집계한 선박수주잔고 자료를 토대로 2022 년까지 선종별 선복량 증가율을 살펴보면  결론적으로 2021 년 이후 LNG 선을 제외한 주요 선종의 선박 공급 증가율이 크게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2021년 이후 선종별 선복량 증가율은 탱커가 0.1%,  벌커가 0.7%,  컨테이너선이 1.5%,  LNG 선이 8.8% 로 추정된다.

클락슨이 집계한 2019년 6월 현재 4 개 선종의 수주잔고는 모두 2,100 척, 56.5 백만CGT다. 벌커의 수주잔고가 가장 많고 LNG 선의 수주잔고가 가장 적다 . 수주잔고는 주로 2020 년에 인도될 예정인데  2020 년 인도 물량은 전체 잔고의 절반에 이른다.

공급증가율은 2019 년 6 월 현재 클락슨의 수주잔고 자료를 기준으로 연도별 인도량을 집계해 연초 선복량에 더한 후 예상 해체량을 차감해 연말 선복량을 산출했고 해체량은 2019년과 2020년은 클락슨의 World Shipyard Monitor 자료를 사용했으며 2021 년 이후 해체량은 2009~ 2018 년 평균 해체량 혹은 1996~ 2018년 평균해체량을 사용했다고 이 애널리스트는 밝혔다.

분석결과 탱커는 2019 년에는 공급증가율이 4.5% 로 높게 나타나지만 내년에는 1.3%, 2021년에는 0.1% 로 급격히 줄어들 전망이다.  벌커의 경우 2019 년과 2020 년 모두 2% 대 공급증가율을 보이지만 2021 년에는 0.7% 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컨테이너선은 올해와 내년 3% 대 공급증가율을 보이나 2021 년에는 1.5% 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와 올해 상반기 발주가 많았던 LNG 선은 올해와 내년 6% 대 공급증가율을 보이고 2021 년에도 8% 대의 높은 공급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10 년간의 물동량 증가율을 살펴보면 , 탱커는 2.5%, 벌커는 4.1%, 컨테이너는 4.4%, LNG 선은 5.5% 증가율을 보였다. 세계 경제가 고성장을 이어갔던 2000 년대와 비교해 보면 물동량 증가율은 다소 둔화됐지만 탱커를 제외하고는 4% 대 증가율을 유지하고 있다.

선박의 공급증가율과 물동량 증가율을 비교해보면 2021년 이후의 공급증가율이 최근 10 년간의 평균 물동량 증가율 전망치를 하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되면서 올해 물동량 증가율 전망치가 계속 하향 조정되고 있긴 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현재의 무역분쟁 이슈가 장기간 지속되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따라서 2021년 이후의 선박공급량은 최근 10 년 평균 물동량 증가율 수준 정도로 회복돼야 할 것으로 판단하며 그 Gap 만큼의 발주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선박의 건조에 최소 2년 정도가 걸리기 때문에 Gap 을 메우기 위한 발주는 미중 무역분쟁이 합의점을 찾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올해 말에는 선박의 발주가 회복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이 애널리스트는 밝혔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