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유조선 피격이 해운업계에 미치는 영향과 그 대응방향을 제시해 관심이 모아졌다.
이에 따르면 지난 5월 12일 호르무즈해협의 Fujairah항에 정박 중이던 유조선 4척이 피격됐으며 그로부터 한달 후인 6월 13일 호르무즈해협 인근의 오만해에서도 유조선 2척이 피격됐다.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유조선만을 노린 계획적인 범죄로 규정했으며 미국은 이란을 배후로 주목하고 있다. 반면 이란은 미국의 주장을 부인하며 미국이 중동 파병 명분을 쌓기 위해 조작한 것이며, 유조선 피격은 미국과 이스라엘 정보기관의 공작이라고 반박했다. 현재까지는 이번 피격의 배후가 누구인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미국의 핵 협의인 포괄적 공동행동계획(JCPOA·Joint Comprehensive Plan of Action) 탈퇴에 이어 이란에 대한 두 차례의 경제 제재가 이번 사건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1980년대 이란-이라크 전쟁, 1990~2000년대 1・2차 걸프전쟁을 거쳐 2011년 이란 제재까지 페르시아만 국가들의 지정학적인 위기가 고조될때마다 원유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됐을 뿐만 아니라 원유를 수송하는 해운시장도 영향을 받아왔다. 호르무즈해협은 전 세계
원유교역량의 약 40%를 담당하고 있는 주요 원유수송로로 하루 평균 1,750만 배럴의 원유가 동 해협을 통해 수송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원유수입량의 약 70~80%가 호르무즈해협을 통과하고 있어 이 지역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해운시장은 OPEC의 감산과 VLCC 인도량 증가(상반기 33척 인도, 하반기 28척 인도 예정)로 올해 2분기 평균운임(daily earning)이 9,350달러에 불과했으나 2차 피격이후 1만 달러 이상 상승해 6월 18일 현재 20,078달러를 기록했다. 런던전쟁보험자협회(JWC· Jont War Committee)에서는 아라비아만 전체와 해협 인근을 고위험지역으로 지정해 ‘전쟁위험보험료’를 부과했는데, 대형 유조선의 경우 항차 당 18만 5천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피격사건 이후 이 유조선 해운시장에 미칠 영향을 몇 가지 시나리오를 가정해 예상할 수 있는데 첫째, 이번 피격사건이 1회성 사건으로 끝날 경우이다. 이 경우 탱커 운임 상승폭은 크지 않고 수개월 안에 정상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FFA 시장의 경우 6월물과 7월물은 각각 7,000달러와 10,000달러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9월물은 피격 이전과 이후 변화가 크지 않아 시장에서는 이번 사태가 2개월 이후 안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둘째, 간헐적이지만 호르무즈해협을 통항하는 선박에 대해 지속적으로 피격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전쟁위험보험료가 올라가게 되며 세계 유조선의 30%가 피격된 ‘탱커전쟁’과 같이 상황이 지속되면 선가의 12%까지 동 보험료가 상승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쟁위험보험료는 선가의 0.6% 수준이나 과거 이라크 전쟁 시 최고 20배까지 부과됐다. 마지막으로 과거 사례로 볼 때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호르무즈해협이 봉쇄되는 경우이다.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에서부터 2011년 이란 제재까지 매번 호르무즈해협 봉쇄 가능성이 언급되었지만 실제 조치로 이어진 사례는 없다. 낮은 가능성으로 해협이 봉쇄될 경우 East-West 송유관과 Abu Dhabi 원유 송유관으로 일부 전이가 가능하나 하루 1,750만 배럴에 달하는 해상운송능력에는 못 미쳐 유가는 급등하고 해운운임은 수요 감소로 급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사건으로 인해 현대상선은 위험지역에 대한 우회 항해를 지시했으며 MOSK는 선박이 피격된 지역을 중심으로 반경 12마일 이내에 자사 선박의 접근을 금지하는 등 대응하고 있다. 이번 공격은 유조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과거 ‘탱커전쟁’의 경우와 같이 일반 상선에 대한 공
격도 가능하므로 타 선종의 항해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가능성은 낮지만 호르무즈해협이 봉쇄될 경우에는 해협 내의 선박이 운항불능상태에 빠지므로 이에 대비해 분쟁 추이를 면밀하게 관측하고 이상 징후가 포착될 경우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피격사건이 단기적인 사건으로 일단락될 경우 선주들의 경계심으로 가용선박이 감소해 시황이 상승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긴장이 고조될 경우 수요가 감소해 시황이 하락국면으로 진입할 수도 있다. 이처럼 시장변동성이 큰 상황에서는 장기계약 형태로 노출을 축소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운임선도시장을 활용한 위험 관리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피격사건이 장기화 되어 우리나라 상선대가 피해를 보게 될 경우 해양수산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국방부 등 많은 관련 부처가 연계해 해결해야 할 난제가 될 수 있다. 해양수산부는 최근 발생한 일련의 피격사건 이후 선사와 긴밀하게 소통하며 상황 변화에 대응하고 있으나 유사시 관련부처의 협조에 문제가 없도록 조직적인 대응시스템을 점검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우리 정부에서는 2차 피격지점과 멀지 않은 거리의 아덴만에 해군을 파견해 해적으로부터 상선대를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어 유사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일각에서는 미국과 이란 간의 우발적 전쟁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으므로 우발적 상황에 대한 대응계획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