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P2.0이 왜 표류할까.
1기 KSP(한국해운연합)와는 달리 민간기업 주도의 정책방향은 늘 제한적이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정부 주도의 정책 추진력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일정기간내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 통상적이다. 하지만 국적 13개 컨테이너선사들 각자의 생존적 이해가 얽힌 KSP2.0은 수긍은 가는 정책방향이지만 강도높은 흡인력은 약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해운전문가들의 지적. 

1기 KSP는 해수부와 해양진흥공사가 K2 통합 합의를 성사시켜 현재 진행 중이지만 KSP2.0은 선사중 앞장서 진두지휘해야 하는 형국인 만큼  자리를 잡기에는 시간이 필요한 듯.
중앙대 우수한 교수의 제안은 관련 선사들도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해수부와 해진공이 빠진 정책 집행과정은 수많은 현안을 걸려내야 하기 때문에 표류는 불가피한 것으로 판단.
하지만 국적 13개 컨테이너선사들이 향후 노정될 급변하는 해운환경하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KSP2.0의 정책방향에 부합하는 모양새를 하루속히 갖추지 않으면 안될 것으로 전망.

조속히 위원회를 구성하고 의장을 추대해 KSP2.0을 통한 국적 컨테이너선사들간의 항로합리화,  강력한 컨소시엄 결성, 비용절감책 강구, 환경규제 대응, 對공정위 기간ㆍ안보산업으로서의 해운산업 중요성 부각 그리고 운임협의체 통합 문제 등 당면 숙제들을 풀 만반의 준비태세는 갖추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해수부와 해양진흥공사는 국적 13개 컨테이너선사들이 고심하며 만들어 낸 아이디어 작품(?)을 평가해 지원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정부개입이 없는 듯 하지만 KSP2.0에 더욱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는 것은 아닐까.  민간주도의 KSP2.0이 국적선사들간의 협력체계를 보다 공고히 다질 수 있는 합의 정신을 조속히 실행에 옮길 수 있다면 보다 실효성있는 뭔가를 얻어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