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운계, 4차 산업혁명 대비 기술개발 투자 절실

 
우리나라 정기선 해운업계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기술개발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KMI 김태일 해운정책연구실 실장과 전우현 연구원에 따르면 해운업계도 4차 산업혁명의 흐름을 비켜가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거 해운업의 성공 요소가 선박과 화주, 화물 확보였다면 신기술을 통한 효율성 증대,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인력 운영 등도 중요한 요소로 대두하고 있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2018년 2월 발간한 The Digital Imperative in Container Shipping에서 e-플랫폼, 진화된 분석기술,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선박자동화 및 로봇공학, 블록체인, 사이버 보안이 정기선사에 변화를 줄 것이라고 예측하고, 특히 진화된 분석기술,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선박자동화 및 로봇공학, 블록체인 등은 선사 운영에 있어 파괴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글로벌 정기선사들은 이에 대한 대응에 적극적이다. 글로벌 최대 선사인 머스크는 디지털 본부를 신설하고 2017년 2월에는 소프트웨어 기업인 SAP 전 CEO 짐 하게만 스나베를 이사회 의장으로 임명하는 한편, 2016년부터 IBM과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해 왔으며 2018년 1월에는 합작법인회사를 설립했다. 현재 머스크는 IBM과 함께 하이퍼레저 패브릭 1.0블록체인에 전 세계 디지털 플랫폼을 제작하고 있다.
중국의 COSCO는 2018년 1월에 상하이에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추진하기 위한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하고 상하이해관, 상하이국제항만그룹(SIPG)과 협력해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기술을 공동으로 구축 및 운영할 계획이다. 이는 빅데이터 플랫폼에 계약 체결, 선복 예약, 입항 등 관련 데이터가 모두 축적되고, 투명한 정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과 효과적인 화물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 코스코그룹은 산하 회사와 연구소와 협력해 과학기술 및 정보화 플랫폼을 구축했다. 이 플랫폼을 통해 전체 산업을 포괄, 과학기술혁신을 이루고자 한다는 것.

이외에도 일본의 NYK는 2018년 3월에 “Staying ahead 2022 with Digitalization and Green"을 신(新) 중기경영계획으로 수립하고 IoS(Internet of Ships) 오픈 플랫폼 컨소시엄에 참가하는 등 4차 산업 기술 접목을 기획하고 있다. CMA CGM은 2017년 9월 인도의 소프트웨어 회사 인포시스(Infosys)와 파트너쉽 계약을 체결하고, 마르세유에 Digital Center of Excellence를 설립하는 한편, 인공지능 플랫폼을 개발하여 선박운항 시 의사결정 지원과 조정 지원 등에 활용하고 있다. Hapag-Lloyd는 CargoShpere에서 제공하고 있는 전자스마트업로드 및 진단솔루션 플랫폼을 구축해 선사, 고객, CargoShpere 간 관세와 계약 운임 데이터 전송을 자동화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이에 대한 대응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 정기선사 등이 참여하는 해운물류 블록체인 컨소시엄이 2017년 5월 31일 발족한 바 있다. 이 사업 참여자인 IT기업 삼성SDS는 관세청이 주관하는 세계최초 블록체인 기반 '수출통관 물류서비스'를 자사 블록체인 플랫폼(넥스레저, NexledgerTM)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이 같은 변화는 향후 해운물류시장의 변화에 대응하려는 해운업계의 노력으로 볼 수 있다는 판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국내외 글로벌 정기선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 정기선사의 대응 노력이 충분치는 않아 보인다. 우선, 해외 글로벌 정기선사에 비해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체감도가 낮게 나왔다.

또 우리나라 정기선사의 경우 조직 및 기술투자에 집중적인 필요성을 느끼는 단계에 머물고 있는 반면, 해외 정기선사는 이미 비즈니스 모델 개발 단계에 진입하고 있어 보다 적극적인 대응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례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 정기선사의 경우 현재까지 일부 대형 선사를 제외하고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노력이 보고되지 않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해운물류 분야에 있어 4차 산업혁명 대응은 주로 정부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다는 점이 해외 정기선사와 다른 점이다. 해외의 경우 비즈니스의 변화를 목적으로 민간 부분의 참여가 적극적인 것과 매우 대조적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정부와 기업의 역할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첫째, 정부는 인프라 구축, 제도 개선 및 R&D 지원에 집중해야 한다. ‘해운물류 4차 산업혁명 대응 클러스터’ 구축을 제안한다. 이러한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새로운 아이디어 혁명을 이끌어
내고, 실험실 및 연구개발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신사업(Start-up) 육성도 병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시도들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병행해야 한다.

둘째, 정기선사들도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기술개발 투자를 늘려 나가야 한다. 우선, 한국 정기선사 중심의 ‘한국형 해운전자상거래 플랫폼’ 구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해외 사례로는 세계 최대 해운전자상거래 플랫폼인 INTTRA가 있다. 이는 2001년에 이미 CMA CGM, Hamburg Sud, 하파그로이드, MSC 및 UASC 등이 합작해 해상화물 전자예약 시스템을 표준화, 설립한 회사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선사와 화주 및 소프트웨어 파트너 등을 비롯해 3만 여개 이상의 회사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플랫폼 구축으로 장기계약 화주들에 대한 유인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글로벌 IT기업이 개발한 플랫폼에 참여할 수도 있으나 한국형 플랫폼을 개발함으로써 독자적인 네트워크 확대가 가능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셋째, ‘해운물류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 빅데이터 사업은 산발적으로 여러 주체가 중복돼 추진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이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과 민간 부문의 자발적인 참여로 구축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플랫폼은 해운물류 분야의 운항, 경영 등 기업 내부환경 변화와 시황예측, 비즈니스 등 외부환경 변화의 분야에서 다양한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민간부문의 펀드를 조성하여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재원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4차 산업혁명의 흐름은 단일 기업이 대응하기 어려운 측면이 많을 것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쉬핑뉴스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